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9

미토콘드리아의 기본적인 기능은 유기물질을 세포가 사용하는 에너지 형태인 ATP로 전환하는 것이다 미토콘드리아의 일부 기능 특정한 세포에서만 수행된다. 예를 들어 간세포의 미토콘드리아는 단백질 대사의 부산물인 암모니아를 해독하는 효소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기능을 조절하는 유전자의 변이는 여러 가지 미토콘드리아 질병을 일으킬 수 있다. 에너지 전환 미토콘드리아의 주 기능은 ATP의 생산으로 해당 과정(미토콘드리아의 바깥쪽 세포질에서 이루어진다)의 주생산물인 피루브산(Pyruvic acid)과 NADH 대사를 통하여 이루어지거나 또는 지방산의 베타 산화(β oxidation) 과정에서 얻어진다. ATP의 생성은 세포의 유형이나 산소의 존재 유무에 따라 2 가지 방법이 있다. TCA회로(tricarboxylic acid cycle) 해당과정에서 생성된 피루브산 분자는 능동 수송에 의해 미토콘드리아 내막을.. 2020. 8. 26.
미토콘드리아의 구조설명 미토콘드리아의 구조 미토콘드리아는 세포막과 같은 형태가 2중으로 겹친 2중 막 구조로 이것은 단백질을 포함하고 있는 인지질 2 중층으로 이루어진 내막과 외막으로 이루어져 있다. 외막과 내막의 기능은 각각 다르다. 내막 내부를 기질(matrix)이라고 부르며 내막과 외막의 사이를 막간 공간(intermembrane space)이라고 한다. 한편 미토콘드리아의 길이는 약 2~6 마이크로미터 정도이며, 직경은 약 0.5 마이크로미터(μm) 정도이다. 외막 미토콘드리아 전체를 감싸고 있으며 무게 기준으로 인지질과 단백질이 반반씩 구성하고 있다. 포린(porin)(2~3 nm 정도 크기의 비교적 큰 내재성단백질(integral proteins))이 많이 있는데 이 포린은 5000D(달톤) 이하인 분자가 투과할 수.. 2020. 8. 26.
미토콘드리아는 중요한 세포소기관이다. 미토콘드리아(영어: mitochondria 단수:mitochondrion) 고대 그리스어 mitos: 끈 + chondros: 낱알)는 진핵생물에서 산소 호흡의 과정이 진행되는 세포 속에 있는 중요한 세포 소기관으로, 한자 표기로는 사립체(絲粒體) 또는 활력체(活力體)라고도 한다. 미토콘드리아라는 이름은 아래의 모식도에서 잘 나타나 있듯이 겉모양이 낱알을 닮고 내부 구조가 마치 끈을 말아 놓은 것 같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기본적인 기능이 여러 유기물질에 저장된 에너지를 산화적 인산화 과정을 통하여 생명활동에 필요한 아데노신 삼인산(ATP)의 형태로 변환하는 것이기 때문에 미토콘드리아는 세포의 발전소라고 할 수 있다. 보통 미토콘드리아는 세포의 25%의 세포질을 차지하고 있으나 그 크기와 수가 세포의.. 2020. 8. 26.
염색체 - Chromosome 염색체(染色體, 영어: chromosome) 생물체(엄밀히 말하면 진핵세포를 지닌 생물)의 세포분열 과정에서만 관찰되며, 세포 분열기에 들어가면서 유전물질을 안전하게 보호하고 딸세포들에게 형평성 있게 유전정보를 분배하기 위해 염색사가 꼬이고 뭉쳐져 응축되어 X자 형태를 이룬 구조물이다. 또한 유전 정보를 담아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며, 세포를 관찰하기 위해 사용하는 특정 염색액에 잘 염색된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진핵세포의 유전물질(DNA 또는 RNA)은 히스톤 단백질의 도움을 받아 꼬여 염색사 형태로 핵에 흩어져 있다가, 분열기(M기)에 접어들면 염색사가 응축하여 염색체를 형성한다. 염색시약에 의해 염색된 분열 중인 세포를 현미경으로 보고 발견하여 ‘염색체’라고 이름 붙였다. 동물세포엔 ‘메틸렌.. 2020. 8.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