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포도당분해과정(해당과정)

by 쥬이대디 2020. 8. 29.
반응형

해당 과정

해당 과정 또는 포도당 분해과정은 포도당(C6 H12 O6)을 피루브산(CH3 COCOO−)으로 전환하는 대사 경로이다. 이 과정에서 방출되는 자유 에너지는 고에너지 분자인 ATP(아데노신 삼인산)과 NADH(니코틴 아마이드 아데닌 다이뉴 클레오 타이드의 환원형)을 형성하는 데 사용된다. 해당 과정은 10가지 효소 촉매 반응으로 구성된다. 포도당 이외에 해당과정의 여러 중간생성물들을 통해 해당과정으로 진입할 수 있다. 과당 및 갈락토스 같은 대부분의 단당류들은 해당과정의 중간생성물들 중의 하나로 전환될 수 있다. 해당과정의 중간생성물들은 다른 대사과정에 이용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다이하이드록시아세톤 인산은 지방을 형성하기 위해 지방산과 결합하는 글리세롤의 공급원이다.

포도당 분해과정


해당 과정은 에너지대사 과정에서 산소 분자(O2)를 사용하지 않는다. 다양한 생물들에서 광범위하게 해당과정이 일어난다는 것은 해당과정이 오래된 물질대사 경로임을 나타낸다. 실제로 해당과정을 구성하는 반응과 해당과정의 유사 경로인 오탄당 인산 경로는 원시 바다와 같은 무산소 조건 하에서 촉매 작용을 일으킨다. 

거의 모든 생물에서 해당 과정은 세포질에서 일어난다. 가장 일반적인 유형의 해당과정은 구스타프 엠덴(Gustav Embden), 오토 마이어호프(Otto Meyerhof), 야쿱 카롤 파르나스(Jakub Karol Parnas)가 발견한 엠덴-마이어호프-파르나스 경로(Embden–Meyerhof–Parnas pathway, EMP pathway)이다. 해당과정은 엔트너-듀도로프 경로(Entner–Doudoroff pathway)와 다양한 혼합 발효(heterofermentative) 및 정상 발효(homofermentative) 경로와 같은 다른 경로를 지칭하기도 한다.


해당과정은 크게 두 단계로 나눌 수 있다.

에너지 투자기(preparatory phase) : ATP를 소비하는 단계
에너지 회수기(payoff phase) : ATP를 생산하는 단계

 

 

 

 

반응형

댓글